주주게시판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최고의 가치를 창조해 가겠습니다.
CEO 전웅 BUSINESS NUMBER 138-81-10821
ADDRESS 경기도 광주시 오포안로 46-10(문형동)
TEL 031-766-4822 FAX 031-766-4821
COPYRIGHT ⓒ HYDROLITHIUMPLUS. ALL RIGHTS RESERVED.
CEO 전웅 BUSINESS NUMBER 138-81-10821 ADDRESS 경기도 광주시 오포안로 46-10(문형동) l 충남 금산군 추부면 금산로 2423-16
TEL 031-766-4822 l 041-751-9901 FAX 031-766-4821 l 041-751-9902 EMAIL hydroli@lii.co.kr
COPYRIGHT ⓒ HYDROLITHIUM. ALL RIGHTS RESERVED.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탄산리튬/수산화리튬 경제안보품목 2025년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로 선정 !
당사는 정부가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에 따라 추진한 2025년도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 선정 절차에서 “탄산리튬, 수산화리튬” 경제안보품목의 선도사업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2025. 2. 14. 관계부처 합동공고를 통하여 “2025년도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 제1차 선정계획”을 공고하고, 경제안보품목별로 해당 소관부처의 접수 및 심사를 거쳐 2025. 4. 9. 선도사업자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당사는 같은 날 선도사업자 선정 결과를 처음 통보받은 데 이어, 최근에는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품목의 소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선도사업자 지위를 거듭 확인받았습니다.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는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에 따라 정부에서 2024년 처음 도입한 제도로, 경제안보품목 및 경제안보서비스의 원활한 도입, 생산 및 제공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공급망 안정화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해당 품목의 소관부처가 경제안보품목과의 관련성, 안정화 계획의 적정성, 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적인 재무여건 및 소관부처 별도의 기준 등을 심사하여 최종 선정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① 충남 금산 공장에서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탄산리튬 생산 및 판매·수출 현황, ②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의 대량 생산 공장 구축 계획, ③ 해외 염호개발 사업 추진 현황 및 계획 등을 바탕으로 당사에서 추진하는 공급망 안정화 계획을 제출하였고, 그 결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탄산리튬, 수산화리튬” 경제안보품목의 선도사업자로 선정될 수 있었습니다.
선정된 선도사업자는 3년간 그 지위를 인정받게 되며, 이 기간 동안 관계법령에 따라 한국수출입은행 등의 심사를 거쳐 공급망안정화 기금의 우선지원, 금리우대 등 금융 지원과 공급망안정화 사업에 관련된 재정지원, 세액공제 등 정책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당사는 정부의 공급망 안정화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일익을 담당하게 된 것에 자긍심을 느끼며, 동시에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우리나라의 리튬 광물 자원 공급망 안정화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당사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 제품]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당사는 리튬이차전지용 리튬원재료 제조분야에서 IATF(International Automotive Task Force) 16949:2016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IATF 16949:2016은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동차 부문 품질관리시스템으로 전 세계 자동차 공급망에 대한 평가 기준이 되어 왔습니다.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자동차용 부품 공급업체에게 IATF 16949:2016인증의 획득을 요구하므로 IATF 16949:2016인증의 획득은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부품 및 원재료 공급업체가 되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따라서, 당사가 IATF 16949:2016인증을 획득한 것은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원재료 공급업체로 선정될 수 있는 필수조건을 충족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당사는 IATF 16949:2016뿐 아니라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9001과 14001인증도 함께 획득하였습니다. ISO 9001은 품질 관리의 기준이자 국제표준으로써 당사의 ISO 9001 인증 획득은 당사가 우수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ISO 14001은 기업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관리하는 국제 표준으로서 당사의 ISO 14001 획득은 당사가 친환경적인 관리 기준을 가지고 고순도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을 제조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당사 모든 임직원들은 IATF 16949, ISO 9001 및 ISO 14001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당사가 고품질, 친환경 수산화리튬/탄산리튬 제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붙임. ㈜하이드로리튬 취득 IATF 16949:2016, ISO 9001 및 ISO 14001]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당사는 3월 14일 국내 종합무역회사인 대기업 A사에 배터리급 고순도 수산화리튬 48톤을 출하했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총 192톤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을 A 사에 공급하였습니다.
이번 4차 출하는 A사의 추가 발주에 따른 것으로써 4차로 출하된 제품도 A사의 구매 규격을 만족하며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습니다. 1, 2 및 3차 출하된 제품과 마찬가지로 4차 출하된 제품도 전량 리튬이차전지 소재용 원료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A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지속적인 공급 및 공급물량 확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하이드로리튬 금산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된24년 9월 말부터 25년 3월 14일 현재까지 판매된 배터리급 고순도 수산화리튬은 272톤으로 국내외 리튬이차전지 소재업계, 전고체배터리 소재업계, 리튬그리스업계 등으로 판매되었습니다. 금산지점의 리튬사업 매출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하이드로리튬의 리튬회사로의 전환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당사 모든 임직원들은 하이드로리튬이 올해 명실상부한 리튬종합소재회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월 14일 국내 대기업 A사에 출하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8톤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당사는 25년 1월 21일 국내 종합무역회사인 대기업 A사에 48톤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4년 11월 4일 A사에 1차로 48톤을 판매하였고 같은 달 20일 2차로 48톤을 판매한 이후 3번째 공급계약입니다. 이로써, 당사는 24년 11월 이후 A사에 총 144톤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을 공급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3차 공급계약은 1차와 2차 출하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A사 품질 검증 통과 및 추가 발주에 따른 것으로 1차와 2차 출하된 제품과 마찬가지로 3차 공급 제품도 전량 리튬이차전지 소재용 원료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A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지속적인 공급 및 공급물량 확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하이드로리튬 금산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된9월 말부터 1월 21일 현재까지 공급계약이 완료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은 206톤으로 리튬이차전지 소재업계, 전고체배터리 소재업계, 리튬그리스업계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 1월 7일 일본 리튬수요업체 B사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3톤이 1차 수출되었고 향후 B사로의 수출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당 일본업체는 지난 1년간 당사 수산화리튬의 품질을 평가해왔으며 최종 품질평가를 마침에 따라 수출이 개시되었습니다. 한편, 하이드로리튬 금산지점 부지가 리튬일반산업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금산공장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고 금산공장의 리튬 판매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올해는 하이드로리튬이 명실상부한 리튬종합소재회사로서 자리매김하는 원년이 될 것입니다.
당사 모든 임직원들은 하이드로리튬이 우리나라 리튬이차전지 산업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이드로리튬 금산지점 전경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당사 정관 제15조에 의거 제30기 정기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기준일을 설정하여 안내드립니다.
1. 기준일 : 2024.12.31.
2. 이사회 결의일 : 2024.12.13.
3. 제30기 정기주주총회 예정일 : 2025.03.31.
당사는 지난 11월 4일 국내 종합무역회사인 대기업 A사에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8톤을 1차로 출하한 이후 11월 11일 대기업 A와 추가 48톤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고 11월 20일 2차로 48톤을 출하 완료하였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11월에 총 96톤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을 A 사에 공급하였습니다.
이번 2차 출하는 1차로 출하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A사 품질 검증 통과 및 추가 발주에 따른 것으로써 2차로 출하된 제품도 A사의 구매 규격을 만족하며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습니다. 1차 출하된 제품과 마찬가지로 2차 출하된 제품도 전량 리튬이차전지 소재용 원료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A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지속적인 공급 및 공급물량 확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하이드로리튬 금산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된9월 말부터 11월 20일 현재까지 판매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은 122톤으로 리튬이차전지 소재업계, 전고체배터리 소재업계, 리튬그리스업계 등으로 판매되었습니다. 금산공장의 리튬사업 매출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하이드로리튬의 리튬회사로의 전환은 가속화될 것입니다.
당사 모든 임직원은 (주)하이드로리튬이 명실상부한 리튬종합소재회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1월 20일 국내 대기업 A사에 2차 출하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8톤
(사진은 운송용 트럭에 실린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13톤)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당사는 ㈜리튬플러스 금산공장을 인수하여 ㈜하이드로리튬 금산지점을 운영함에 따라 금산공장의 간판을 아래와 같이 정비하였습니다.
[간판 정비 1. 추부IC → 금산지점 진입로]
[간판 정비 2. 용지리 → 금산지점 진입로]
[간판 정비 3. 금산지점 본관 건물]
[간판 정비 4. 금산지점 본관]
[간판 정비5. 금산지점 A동]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주)하이드로리튬은 최근 충청남도 금산에 있는 리튬플러스의 수산화리튬 공장과 생산설비를 인수하고 하이드로리튬 금산지점으로 등기 및 사업자등록을 마쳤습니다. 또한, 공장의 가동을 위하여 필요한 각종 배출시설 및 저장시설의 신고, 물질보건안전자료 제출 및 화학물질 제조 승인까지 모두 하이드로리튬 명의로 완료하였습니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현재 (주)하이드로리튬 금산공장에서는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을 원활하게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당사의 리튬사업 매출도 점차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주)하이드로리튬 금산공장에서 생산 중인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은 리튬이차전지 소재 제조업계, 리튬 전고체배터리 소재 제조업계 및 국내 리튬그리스 제조업계로 판매되고 있으며 일부는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주)하이드로리튬 금산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된9월 말부터 10월 말 현재까지 판매 및 계약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은 약 70톤입니다.
특히, 당사는 작년부터 국내 종합무역회사인 대기업 A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공급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제품의 품질 검증 및 최종 수요처와의 협의를 거쳐온 끝에, 10월 말 A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8톤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결실을 맺었습니다. 이 계약 물품은 11월 4일 오전 10시 금산공장에서 48톤 전량 출하 완료되었으며, 이렇게 출하된 제품은 전량 리튬이차전지 소재용 원료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A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지속적인 공급 및 공급물량 확대를 논의하고 있으며, 기존의 판매처인 전고체배터리 소재업계, 리튬그리스 업계 및 일본 리튬수요업계로도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판매가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도 금산공장의 리튬사업 매출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사 모든 임직원은 (주)하이드로리튬이 명실상부한 리튬종합소재회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1월 4일 국내 대기업 A사에 출하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8톤]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웅
볼리비아 염호 국제모집 절차와 관련하여, 볼리비아 국영리튬공사(YLB) 홈페이지에 2024. 9. 2. (한국시간 3일)자로 “4개 업체와 우선적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공지문이 게시되었습니다.
(원문 : https://www.ylb.gob.bo/node/111)
위 공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YLB가 중국,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등 “적어도 4개의 업체와 우선적으로 협상을 진행한다(prioritize negotiations with at least four international companies)”는 것으로, 공지문 말미에서는 YLB가 “다른 제안들도 배제하지 않고(without discarding the other proposals)” 협상 단계를 진행하고 있음을 재차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기본적으로 지난 6월 7일 발표된 “제안 업체를 4개의 그룹(categoria)으로 분류하고 상위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는 YLB의 기조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으로, 2그룹에 편성된 당사는 아직까지는 YLB로부터 어떠한 공식적인 연락도 받지 못한 상황입니다.
최근 볼리비아에서는 주무부처(탄화수소에너지부) 장관과 리튬공사(YLB) 사장이 교체된 것으로 파악되며, 이러한 사정으로 국제모집 절차가 당초 예정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으로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공식적으로 새로운 통지를 접수하는 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