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주주게시판


2024-05-29
조회 1947

(주)하이드로리튬의 최대주주인 ㈜리튬플러스는 29일 국내 리튬 유통업체인

C사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 100톤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공급기간은 2024년 6월부터 1년간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공급 물량과 기간을 확대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국내 리튬 유통업체인 C사는 이번 계약 물량 100톤을 리튬 그리스, 리튬 응고 가속제, 리튬 경화 촉진제 업체에 우선 공급하고

향후 음극재, 전해액 첨가제, 제약용 리튬 업체들까지 공급 확대를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2024-05-15
조회 2316

 하이드로리튬, 리튬플러스, 리튬포어스 3사는 볼리비아 정부와 볼리비아 국영 리튬공사(YLB)가 추진하고 있는 볼리비아 염호 개발 국제 모집 2단계 절차에서, 볼리비아 정부가 요구한 다양한 기술적/재무적 사항에 맞추어 성공적으로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하였습니다.


 저희 3사는 앞서 볼리비아 정부가 2024. 3. 14. 발표한 1단계 심사 통과 26개 업체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어, 그 다음 단계인 2단계(프로젝트 제안서 제출)로 진출한 상태였습니다. 2단계 프로젝트 제안서 제출 마감일은 볼리비아 현지 시각으로 2024. 5. 10.까지였으며, 당사는 볼리비아 정부가 요구한 사항을 모두 갖추어 위 기한 내에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하였습니다.


 볼리비아 리튬공사(YLB)는 현지 시각 14일(한국시각 15일) 홈페이지 공고를 통하여, 이번 2단계 절차에서 21개의 업체가 총 22개의 프로젝트 제안서를 성공적으로 제출(중국 1개 업체가 복수의 제안서 제출)하여 다음 3단계 평가로 진입하게 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 공고문 원문

https://www.ylb.gob.bo/resources/img/2024/convocatorias/ComunicadoConvIntern.pdf


 볼리비아 리튬공사가 이번 프로젝트 제안서에 요구한 사항에는 개발 대상 염호의 특정, 과거 실시한 리튬추출 파일럿 테스트의 결과, 볼리비아 염호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 및 시설에 관한 세부사항(파일럿 플랜트의 생산용량 및 위치, 생산 제품의 품질, 기술 적용이 가능한 염수의 농도 범위, 물 소비량, 에너지 소비량, 화석연료 소비량, 공정에 투입되는 물질과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에 관한 정보, 공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등)은 물론, 예상 투자 및 운영 비용과 내부수익률(IRR) 등 재무적 평가에 관한 사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도 세부적인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당사는 독창적인 리튬추출기술(CULX)의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최대한 위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상세한 프로젝트 제안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습니다. 특히 불순물이 다량 함유된 염수에서 친환경적, 경제적으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CULX의 강점을 십분 활용하여, 실제 볼리비아 염수 조성을 활용한 파일럿 테스트까지 마치고 그 결과를 제안서에 담아 이번 국제 모집의 대상이 되는 거의 대부분의 염호에 CULX를 적용할 수 있음을 충실히 설명하였습니다. 그 결과 당사는 다음 3단계 평가로 진입하는 21개 업체 가운데 하나로 선정될 수 있었습니다.


 다음 3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참여업체의 재정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재무서류 평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3단계에서는 기술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전히 재무적 평가만 예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른 다국적 거대기업들에 비해 저희 3사가 열세의 위치에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저희는 3단계 평가에 대비하여 국내외 유수의 업체들과 볼리비아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는 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현재까지 복수의 업체로부터 참여의향서를 받은 상태입니다. 당사는 이들 업체와의 협력 및 향후 투자 방안을 충실히 설명하여 다가올 3단계 평가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진행경과

2024. 1. 26. 볼리비아 염호 개발 국제 모집 공고

2024. 3. 7. 1단계(행정적, 기술적 요구사항 제시) 모집 마감 결과, 세계 각국에서 38개 업체가 응모했음을 발표

2024. 3. 14. 1단계 심사 결과, 26개 업체 통과(12개 업체 탈락) 발표

2024. 5. 10. 2단계(프로젝트 제안서 제출) 접수 마감

2024. 5. 14. 볼리비아 정부 2단계 접수 결과 발표 : 3단계 진입 21개 업체 가운데 하나로 선정


주식회사 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2024-05-05
조회 2435

 최근 당사 새만금 공장 건설에 대한 “건축허가 변경 신청 취하 알림”이라는 내용과 관련하여 당사 새만금 공장 건설 계획이 전부 취소되었다거나, 토지만 매입하고 건설은 진행하지 않을 계획이라는 등의 음해성 소문들은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당사의 새만금 공장은
1) 총 생산용량 5만톤 공장 건설을 위한 새만금 부지를 확보한 후
2) 연산 1만톤 생산용량의 1공장을 우선 건축하고
3) 각각 연산 2만톤 생산용량의 2공장과 3공장을 단계별로 건축하는 것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총 생산용량 5만톤 공장 건설을 위한 부지를 확보하였으며 1공장, 사무동 및 부대시설의 설계 및 건축 허가를 완료하고 현재 건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각각 연산 2만톤 생산용량의 2공장과 3공장의 설계도 90% 이상 진행되어 3/4분기 중에는 설계가 완성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2공장과 3공장들에 대한 건축을 승인받고자 2024년 2월 새만금 개발청에 건축허가 변경 신청서를 접수하였습니다. 그러나 송구스럽게도 1공장 건설 공사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2공장과 3공장의 건설 또한 조절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2024년 2월 제출한 2공장, 3공장에 대한 건축 허가 신청을 취하하는 내용의 신청서를 2024년 4월 30일 새만금 개발청에 접수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건축 허가의 유효시한은 2년으로 1공장 건설 공사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2공장과 3공장의 건축 허가를 추진하여 유효시한을 맞추지 못하는 것보다는 최적의 시점에 2공장과 3공장 건축 허가를 신청하고 신속하게 건설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공장과 3공장의 구축을 위한 부지의 확보를 완료하고 설계까지도 90% 이상 진척된 상황에서 적절한 시점에 2공장과 3공장의 건축 허가를 신청하고자 하는 것은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함입니다.


 당사는 새만금 공장의 건설을 포기하거나 사업 계획을 취소하고자 하는 생각은 전혀 없으며, 반드시 새만금 1공장을 신속하게 완공하여 대한민국이 리튬소재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임직원 모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4-04-15
조회 2361

튀르키예 대통령실 직속 투자청 홈페이지 4월호 뉴스레터에 코윤주 그룹과의 양해각서(MOU) 체결에 관해 공식 보도되었다.



(출처. 튀르키예 대통령실 직속 투자청 홈페이지)
https://www.invest.gov.tr/en/pages/home-page.aspx



2024-03-19
조회 5648

 하이드로리튬, 리튬플러스, 리튬포어스 3사의 대표이사이자 불순물 염호 리튬 추출기술(CULX)의 특허권자인 전웅 박사는 2024. 3. 19. 튀르키예 코윤주 그룹의 이브라힘 코윤주(Ibrahim Koyuncu) 대표를 만나, 튀르키예 염호에서 공동으로 리튬을 추출하기로 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습니다. 양해각서 체결식은 충남 금산군 리튬플러스 본사에서 진행되었으며, 행사에는 무랏 타메르 주한 튀르키예 대사님과 타하 사란 튀르키예 투자청 한국지부장님 등 튀르키예 정부의 귀빈들께서 참석해 주셨습니다.


 이 양해각서는 양측이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튀르키예의 투즈 호수(Tuz Lake)에서 리튬 추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합작회사에 한국 측은 염호 리튬 추출기술과 기술 인력을 제공하고, 튀르키예 측은 투즈 호수의 사업 부지와 염수 사용권을 제공하면서, 양측이 동등하게 지분을 나눠 갖기로 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우수한 기술력(CULX)을 바탕으로 해외의 염수에서 리튬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였습니다.


 투즈 호수는 튀르키예 중부 아나톨리아 지방의 상대적으로 저지대(고도 약 900m)에 위치한 지하 용출 표면 호수로, 수심은 약 50cm이나 총 면적이 약 1,600km2으로 서울시 면적의 3배에 달하는 광활한 수자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호수에는 리튬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나, 남미의 주요 염호 리튬 산지에 비해서는 리튬 함유량이 낮은 반면 마그네슘 등 불순물 함량은 매우 높아, 종래의 자연증발법이나 통상적인 리튬 직접 추출기법(DLE) 등으로는 상업적으로 리튬을 생산할 수 없는 자원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현재 투즈 호수에서는 염수를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사업만 진행되고 있으며, 코윤주 그룹은 그 가운데 생산 및 수출량에서 가장 앞서 있는 튀르키예 제1의 소금 생산·수출 기업입니다. 코윤주 그룹은 그 밖에도 에너지, 화학, 자동차, 농산물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일찍부터 독자적인 리튬 추출 기술(CULX)을 적용할 수 있는 유력한 후보지 중의 하나로 튀르키예 투즈 염호의 가능성을 검토해 왔습니다. 이에 2023년 5월 튀르키예 대통령실 직속 투자청 한국 지부와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에 처음 사업 가능성을 문의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튀르키예 정부와 소통하며 양국간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였습니다. 그 결과 2023년 11월에는 튀르키예 투자청의 주선 하에 코윤주 그룹과 첫 영상회의를 진행하였으며, 2023년 12월에는 코윤주 그룹으로부터 투즈 호수의 염수 샘플을 전달받아 성분 분석 및 리튬 추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투즈 호수의 염수 샘플]

[CULX를 적용하여 추출한 리튬 복합 조성물]


 리튬플러스 금산 공장의 리튬 추출 데모 플랜트에서 성공적인 리튬 추출 결과까지 확인한 후에는 2024년 2월 튀르키예를 방문하여, 튀르키예 정부 및 코윤주 그룹과 그 성과를 공유하고, 튀르키예 대통령실 직속 투자청과 코냐(Konya) 주정부 투자청(MEVKA)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투즈 호수 현장과 증발연못(pond) 등 생산시설 답사까지 마쳤습니다.


 이번 양해각서는 코윤주 그룹이 약속한 한국 답방 과정에서, 튀르키예 대사관 및 투자청과 함께 리튬플러스의 수산화리튬 생산시설과 리튬추출 데모 플랜트 답사까지 마친 이후에 체결되었습니다.

 행사에 참석하신 무랏 타메르 주한 튀르키예 대사님은 “튀르키예는 양국이 합작 사업을 진행하기에 좋은 비즈니스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대한민국의 우수한 기술이 튀르키예의 저명한 코윤주 그룹과 만나 모범이 되는 성공 사례를 만들기를 기원한다.”고 축하의 말씀을 전해주셨습니다.


 이번 MOU 체결까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해 주신 튀르키예 대통령실 직속 투자청(본청 및 한국지부), 코냐 주정부 투자청(MEVKA)과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을 비롯한 튀르키예 정부에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제 양측의 협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만큼 반드시 이 프로젝트를 끝까지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양국의 경제발전과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리튬 자원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4-03-18
조회 1926

 (주)하이드로리튬 주주님들께 알려드립니다.

당사는 2024년 03월 28일(목) 제29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합니다.


 이에 주주님들의 의결권 행사에 도움을 드리고, 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의결권 대리 행사 권유 업체와 전자투표 제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행사 권유업체가 미방문하거나, 전자투표가 어려우신 주주님들의 의결권 행사에 도움을 드리고자 아래의 이메일과 전화번호로 연락 주실 경우 담당자가 주주님들의 댁으로 위임장을 보내드려 주주님들의 의결권 행사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의 이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임미선 팀장             mslim@hydroli.co.kr
박태현 프로                 thp@hydroli. co.kr
전 화 번 호                        070-4225-6451

 

2024-03-16
조회 3336

 

                                                       [볼리비아 염호 프로젝트에 지원한 38개 업체 목록(2024. 3. 7. 발표)]                                    [1단계 심사를 통과한 26개 업체 목록(2024. 3. 14. 발표)]


 

하이드로리튬, 리튬플러스, 리튬포어스 3사는 볼리비아 정부와 볼리비아 국영 리튬공사(YLB)가 추진하고 있는 볼리비아 염호 개발 프로젝트

국제 모집에 공동으로 참가하여, 국내 기업으로서는 유일하게 1단계 심사를 통과하였습니다.


앞서 볼리비아 정부는 2024. 1. 26. YLB 홈페이지에 게시한 “증발 자원 사용을 위한 프로젝트 및 기술 개발에 대한 의향 표명 모집” 공고문을 통하여,

볼리비아의 우유니(Uyuni), 코이파사(Coipasa), 파스토스 그란데스(Pastos Grandes), 카피나(Capina), 카냐파(Cañapa), 치구아나(Chiguana) 및 엠펙사(Empexa) 

7개 염호의 실제 환경에서 기술성, 경제성, 재정적 타당성 등을 확인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 구현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하였습니다.

※ 공고문 원문 : https://www.ylb.gob.bo/resources/transparencia/convocatoria_internacional.pdf


위 공고에 따르면, 볼리비아 정부와 YLB는 제 1단계(행정적, 기술적 요구사항 제시)부터 제 5단계(협상 및 계약 체결)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기간을 거쳐

 각 단계별로 심사 및 선정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 중 제1 단계(행정적, 기술적 요구사항 제시)에서는, 지원업체의 기본 정보를 포함한 행정적 사항 외에, (i) 회사가 지난 5년간 증발 자원(염수)을 활용한

파일럿 또는 상업 프로젝트를 수행한 실적, (ii) 증발 자원을 활용한 파일럿 또는 상업 프로젝트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인력 보유 현황, (iii) 관련 기술을 보유하였음을 입증하는 서류 

기술적 자격 요건을 입증하는 서류의 제출을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저희 3사는 YLB의 요구사항과 단계적인 심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공동으로 위 프로젝트에 지원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특히 위 1단계 기술적 요구사항에 맞춰 (i) 리튬플러스 금산 공장에 구축된 리튬 추출 데모 플랜트의 가동 실적, (ii) 자격을 갖춘 우수한 기술인력 현황, (iii) 전웅 대표가 보유한

혁신적인 염수 리튬 추출 기술(CULX)에 관한 특허 등의 자료를 갖추고 2024. 3. 6. 위 프로젝트에 참여하겠다는 의향서를 제출하였습니다.


볼리비아 정부는 2024. 3. 7. YLB 홈페이지에 게시한 공고문을 통하여, 위 프로젝트 모집 마감 결과 전세계에서 38개의 업체가 참여 의향서를 제출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 참여업체 목록에는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프랑스, 중국, 독일, 러시아, 브라질 등 다양한 국가의 업체들이 포함된 가운데,

국내 업체로는 저희 3사가 유일하게 포함되었습니다(의향서 제출 시간 순서로 정렬한 목록에서 35번째).


그리고 그로부터 일주일 후인 2024. 3. 14. 볼리비아 정부는 YLB 홈페이지를 통하여 1단계 심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38개 지원업체 중 12개 업체가 탈락하고 26개 업체만 1단계 심사를 통과한 가운데, 저희 3사는 심사 통과 업체 목록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렸습니다.

※ 공고문 원문 : https://www.ylb.gob.bo/resources/img/2024/convocatorias/14032024.pdf


그 동안 저희의 리튬 염호 개발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데 깊이 감사드립니다.

저희 3사는 남은 심사 단계에서도 실제 볼리비아 염호 현장에서 리튬 추출 기술(CULX)의 독보적인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유수 업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재정적 규모 면에서도 자격을 입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볼리비아 염호 리튬 추출사로 선정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주)하이드로리튬  대표이사  전 웅

 


2024-01-01
조회 4513

2023-06-26
조회 13014


주주님들이 궁금해하시는 리튬플러스 현황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1. 리튬플러스에서 대량 생산중인 수산화리튬의 품질

 

 리튬플러스에서 대량 생산중인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의 불순물 함량을 중국, 미국, 칠레 등의 세계적인 수산화리튬 메이커 6곳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제품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리튬플러스에서 생산한 수산화리튬의 불순물 함량이 경쟁업체들 제품 대비 동등 또는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리튬2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의 중요한 품질중의 하나인 탄산리튬 함량의 경우, 리튬플러스 제품이 세계적인 수산화리튬 메이커들의 제품 대비 절반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현재 리튬플러스에서 대량 생산 중인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은 세계 최고의 품질인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우수한 품질은 리튬플러스 자체 분석뿐 아니라 수산화리튬을 사용하는 리튬배터리 소재업체의 분석을 통하여도 확인되었습니다.

 


2. 리튬플러스 생산공정의 회수율(=수율)

 

 일반적으로 생산공정의 회수율이란 얼마만큼의 원료를 투입하여 얼마나 많은 제품을 생산하느냐를 의미합니다. 전웅 박사가 리튬플러스에 구축한 공정은 저순도 탄산리튬을 원료로 투입하여 배터리급 수산화리튬과 고순도 탄산리튬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입니다. 이 공정에서 생산되는 고순도 탄산리튬은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원료로서 재사용 될 수도 있고 외부에 판매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리튬플러스 생산공정의 회수율은 저순도 탄산리튬을 얼마만큼 투입하여 배터리급 수산화리튬과 고순도 탄산리튬을 얼마나 생산하느냐에 의해 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공정의 회수율은 외부에 알려지면 안되는 회사의 중요한 영업비밀로 리튬플러스도 예외가 아닙니다. 따라서, 공정의 회수율을 수치로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전웅 박사는 “현재 리튬플러스 생산공정의 회수율은 세계 어느 업체에도 뒤지지 않는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자부한다” “현재의 생산공정 회수율은 더 이상 향상될 수 없는 최고치에 도달해 있다”고 말하면서 주주들께서는 시장에 떠도는 “리튬플러스 공정은 아직 회수율이 낮다”라는 잘못된 풍문에 불안해하지 마시길 당부했습니다.

 


3. 리튬플러스 생산공정의 생산용량

 

 현재 리튬플러스는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을 연산 2천톤 규모로 생산 가능한 상태입니다. 리튬플러스 생산공정은 연산 3,600톤으로 설계되었으나 공정설비 제작 시, 자금 및 공간의 부족으로 원래 설계된 설비의 개수를 모두 제작하지 못하고 설계용량 대비 축소 제작, 설치되었습니다. 현재 리튬플러스는 생산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축소되었던 설비들을 추가로 제작, 설치하는 중이고 일부 설비는 효율화/최적화 작업중입니다. 하이드로리튬의 결정화기 제작 및 납품은 이러한 작업의 일환입니다. 이러한 작업들이 마무리되는 하반기 중에는 연산 3,600톤을 초과하는 생산용량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리튬플러스 공장의 생산용량이 최초 설계용량 대비 감소한 것은 화학공정의 성능이나 회수율 저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불가피한 사정으로 설비 개수를 설계용량 대비 축소한데서 온 것으로 설비의 개수만 증가시키면 생산용량 연간 3,600톤은 충분히 달성될 것입니다. 전웅 박사는 “리튬플러스 생산공정은 현재까지 전공정이 200회 이상 가동되었고 설비 설치 이후 첫번째 공정을 포함 단 한번의 불량도 없이 완벽하게 가동되어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이 대량 생산되고 있다” “리튬플러스 기술이 100% 국산인 것인 것처럼 생산공정설비도 100% 국산으로 설비를 추가 제작, 설치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고 국내업체들에 의해 저렴하고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하면서 주주님들께서는 시장에 떠도는 “리튬플러스 공장의 수율이 낮아 생산용량이 감소되었다” “수율을 증가시켜야 생산용량이 증가된다”는 것은 잘못된 풍문이니 우려하시지 않아도 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4. 리튬플러스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공급계약

 

 리튬플러스는 대량 생산된 수산화리튬을 셀 제조사, 양극재 제조업체, 전해질 제조업체, 전고체 소재 제조업체 및 윤활유 제조업체에 제공하여 품질테스트를 우수한 품질로 무난히 통과하였고 현재 대량 생산된 제품의 공급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일부 업체와는 최근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고 다른 업체로는 조만간 본격적인 공급이 예상됩니다. 또한, 일본과 중국에서도 리튬플러스 제품의 구입을 요청하여 협의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리튬플러스는 신의를 지키는 기업으로서 해당 거래업체와 맺은 비밀유지협약의 준수를 위해 노력해왔고 이는 리튬플러스에 대한 거래업체들의 신뢰를 향상시켜 향후 거래량 확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호재성 뉴스를 당장 공개하지 않는 것이 손해처럼 인식될 수 있지만 회사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진정으로 회사와 주주님들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기에 리튬플러스의 “약속이 우선”이라는 홍보 방침을 양해해 주실 것을 바랍니다. 비밀유지협약이 해제되는 시점에 관련 현황을 공표할 예정입니다. 전웅 박사는 “우리가 생산하는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은 백화점에서 즉흥적으로 옷을 구입하는 것과 달라서 구입업체는 제품을 대량으로 구입하기 전에 실험실적으로 기본 품질을 검증하고, 양산공정에 투입하여 양산 품질을 재 검증하고, 품질 검증 후에는 공급가격 및 조건을 협상하는 장시간이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우리가 양산을 시작한지 4개월이 지났지만 많은 업체들이 상기 준비과정들을 완료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다. 현재 다수의 업체들이 상기 준비과정들을 진행 중이고 모든 업체들이 리튬플러스 제품의 품질에 만족하고 있지만 아직 해야 할 일들이 남아있다. 조만간 모두가 기다리는 대량 장기공급계약 소식을 알려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리튬플러스와 하이드로리튬 임직원 일동은 주주님들과 투자자 여러분들의 기대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리튬원재료 업계를 선도하는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생산기업으로 도약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리튬플러스, ㈜하이드로리튬 임직원일동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최고의 가치를 창조해 가겠습니다.

CEO   전웅     BUSINESS NUMBER   138-81-10821 

ADDRESS   경기도 광주시 오포안로 46-10(문형동)

TEL   031-766-4822     FAX   031-766-4821


COPYRIGHT ⓒ HYDROLITHIUMPLUS. ALL RIGHTS RESERVED.

CEO   전웅      BUSINESS NUMBER      138-81-10821      ADDRESS   경기도 광주시 오포안로 46-10(문형동)  l 충남 금산군 추부면 금산로 2423-16

TEL    031-766-4822 l 041-751-9901      FAX   031-766-4821 l 041-751-9902       EMAIL   hydroli@lii.co.kr


COPYRIGHT ⓒ HYDROLITHIUMPLUS. ALL RIGHTS RESERVED.